정보공유

청년도약계좌 9월 신청 조건, 금리 효과, 세제 혜택까지 한눈에

Journaltwo 2025. 8. 28. 13:50
반응형

 

목차

청년도약계좌 9월 신청 개요

2025년 9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9월 1일(월)부터 9월 12일(금)까지 10영업일간 진행됩니다. 출시 이후 220만 명 이상이 가입했을 만큼 큰 호응을 얻었으며, 정부 기여금과 세제 혜택으로 연 최대 9.54%의 금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가입 전에 헷갈리는 점 많으시죠?  [청년도약계좌 자주 묻는 질문 정리 바로 가기] 

신청 조건 (연령·소득 기준)

만 19세~34세(군 복무자는 39세까지), 개인 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일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금 혜택은 더 커집니다.

주요 혜택 (정부지원·금리·세제·신용점수)

▶ 같은 청년도약계좌라도 은행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확인 하러 가기

 

- 정부 기여금: 월 2만~6만 원 지원, 최대 5년간 차등 지원
- 금리 효과: 은행 금리 + 정부 지원으로 연 최대 9.54% 효과
- 세제 혜택: 이자 전액 비과세
- 신용점수 가점: 2년 이상 유지 시 금융 신용점수 상승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혜택

실제 계산 예시

계산 공식

  1. 본인 저축액 = 월 저축액 × 60개월(5년)
  2. 정부 기여금 = 월 2만~6만 원 × 60개월 (소득 구간별 차등 적용)
  3. 은행 이자 = (본인 저축액 + 정부 기여금의 평균잔액) × 연 금리(약 3%) × 5년
    • 여기서 평균잔액은 단순히 월 적립식 적금의 성격을 감안해, 원리금 균등적립 평균치를 반영 (총 저축액의 약 절반 수준을 5년 동안 운용한다고 가정)
  4. 최종 수령액 = 본인 저축액 + 정부 기여금 + 이자

- 월 50만 원 저축 시: 약 3,600만 원 이상 수령

 

  • 본인 저축액: 50만 원 × 60개월 = 3,000만 원
  • 정부 기여금: 평균 5만 원 × 60개월 = 300만 원 (최대 360만 원까지 가능)
  • 은행 이자: 약 300만 원 (3% 단리+적립식 평균 잔액 가정)
  • 최종 수령액 = 3,600만 원 이상


- 월 70만 원 저축 시: 약 4,900만 원 이상 수령

 

  • 본인 저축액: 70만 원 × 60개월 = 4,200만 원
  • 정부 기여금: 평균 5만 원 × 60개월 = 300만 원 이상
  • 은행 이자: 약 400만 원 (적립식 가정, 금리 3%)
  • 최종 수령액 = 약 4,900만 원 이상

신청 시 유의사항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 환수, 첫날 접속 혼잡 예상, 은행별 혜택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비교 후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어떤 청년에게 유리할까?

사회 초년생, 결혼 준비 청년, 프리랜서 및 비정규직, 군 전역 청년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미래 전망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 규모를 확대하고 제도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청년 자산 형성 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결론

청년도약계좌 9월 신청은 정부지원, 높은 금리 효과, 세제 혜택, 신용점수 가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소득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이번 9월 신청을 반드시 활용해야 합니다.

반응형